지진과 내진설계 그리고 생존물품
지진과 내진설계 그리고 생존물품
(부재 : 영화로 보는 삶)
지진(earthquake)
<출처 : 위키피디아 - 저자 Krish Dulal>
▶
지진은 왜? ◀
과학적으로 검증되기 전 예전 사람들은 지진을 다르게 해석하였습니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포세이돈'이 기분이 나쁘거나 사람들 벌주려 할때 삼지창을 땅에 꽂아 지진이 일어난다 믿었구요 일본 신화에서는 '나마주'라는 성질 사나운 큰메기가 날뛰면 지진이 일어났다.라고 생각했습니다. 인도에서는 여러마리의 코끼리가 땅을 받치고 있는대 한마리가 지쳐서 고개를 숙이면 지진이 일어난다고 생각했습니다.
지진의 원리를 찾아보았습니다.
지진이 일어나는 원리는 탄성반발(elastic rebound)이다. 소시지의 양 끝을 잡고 살짝 구부리면, 탄력을 갖고 있어서 잘 휘어진다. 그러나 계속 구부리면 결국 부러지고 휘어졌던 부분은 처음처럼 꼿꼿한 상태로 돌아간다. 지층도 힘을 받으면 휘어지며 모습이 바뀐다. 그러다 버틸 수 없을 만큼의 힘이 축적되면 지층이 끊어져 단층이 되고,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려는 반발력에 의해 지진이 발생한다.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지진 [earthquake, 地震] (두산백과)>
"소세지가 탁! 하고 끊어지면서 원래대로 돌아오려고 탱글탱글 흔들리는것이 지진이라고 하네요"
▶ 최근 잦아진 지진 이유? ◀
지진의 종류는 인공지진과 자연지진(구조지진,화산지진,함몰지진)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그 중 구조지진에 해당하는 단층 지진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세계에는 지진판이 존재하는대 판이 움직여서 부딪혀 지진이 발생하고 단층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지진이 없었는대 왜 갑자기라고 의문이 드는대? 과거 조선시대,고려시대에서도 지진의 기록은 있습니다.
"집이 흔들려 무너질듯했고 담당이 무너졌으며 기붕의 기와가 떨어졌다 <현종 11년>"
"담과 집이 무너지고 사람이 많이 깔려 죽었다 <단종 2년>"
원더풀 사이언스(지진, 흔들리는한반도)에서 홍태경 교수님이 하신말씀입니다.
"(한반도의)환경이 바뀌지 않기 때문에 규모 6.0 이상의 지진이 과거에 발생햇다는 것은 미래에도 똑같이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가 되는거고요. - 생략-" - 자세한 사항은 원더풀 사이언스 -EBS1 2011년 3월 18일- 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
▶ 지진을 견디기 위한 내진설계,제진설계,면진설계 ◀
저희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진이 많은 일본은 내진설계가 잘되어있다고 합니다. 내진설계,제진설계,면진설계 방식도 다양하네요
부산일보의 기사에 설명이 쉽게 되어 있어서 첨부하였습니다.
<출처 부산일보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61025000303>
*문제될시 삭제하겠습니다.
우리나라는 내진설계가 안된것은 아니지만 약하다고합니다. 서울특별시에 사시는 분들은 아래 사이트에서 내진 자가검진을 할수 있다고 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http://goodhousing.eseoul.go.kr/SeoulEqk/index.jsp>
▶ 지진 발생시 준비물 ◀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필요한 생존 물품들이 많을것입니다. 인터넷에는 생존 물품을 모아서 판매하기도 합니다.

지진생필품 보러가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저는 집에 있는 간단한 것들만 작은가방에 모아서 신발장에 두었습니다.
손전등,테이프,세면도구,라이타,휴지,방수팩,수건,생수,세안용품(화장품샘플)
혹시 집에서 지진이 날경우 어디로 뛰어갈것인지 동선체크도 한번 해두었습니다. 저는 지진이나면 화장실로 들어갈 생각입니다.(파이프관이 많아서 무너질 확률이 적다고하네요)
호들갑이다 하시는 분들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지진이 났을때 통신두절 및 흔들림을 경험해보신 분들이라면 공감하실꺼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도 지진이 많아진 상태입니다. 2017년 2월 중반인대도 1월부터 20여차례의 지진이 있는걸로 기상청에서 보여집니다.
<출처 기상청 http://www.kma.go.kr/weather/earthquake_volcano/report.jsp>
영화를 시작으로 너무 많이 알아보고 자세히 알아보고 겁먹은 것도 많네요. 자연 재해라는게 모를땐 모르지만 알고나면 끝없이 무서운 것 같습니다. 일단 시작이 영화였으니 뜬금없지만 지진에 관련된 영화포스터를 첨부하면서 마칩니다.